천문우주+뇌과학모임

조회 수 3034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마우나케아 밤하늘에 빛나는 세 개의 레이저광선

"Three Shining Laser Lines through the Night Sky of Mauna Kea" (http://www.naoj.org/Topics/2009/06/26/index.html)

 

최근 처음으로 켁, 제미니, 수바루의 구경 8-10미터급 망원경들에서 동시에 레이저 광선을 쏘아올리는 진풍경이 벌어졌습니다. 위의 링크에서 보듯 수바루웹페이지에서 토픽으로 다루어졌습니다.

사진은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속에 보면 레이저가 굽어져 있기도 한데, 그건 단지 화상처리의 결과이니 오해없으시기 바랍니다. 

  이 레이저들은 차세대 적응광학 (Adaptive Optics), 즉, 대기의 요동(즉 바람)에 의한 별빛의 흐트러짐을 보정하여 별빛이 한곳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대기밖의 우주에서 찍은 듯한 선명한 천체상을 얻기 위한 장치의 핵심장치입니다.  이 시스템을 레이저참조별을 이용한 적응광학(Laser Guider Star Adaptive Optics: LGSAO) 이라고 부르고, 레이저는 창공 약 50-100km에 존재하는 중간권의 상층부 (90-100 km)에 인공별(점광원)을 만들기위한 것입니다. 지구대기권의 하나인 중간권의 상층부에는 나트륨(Na)원자층이 존재하는 데, 이 나트륨원자들을 자극하여 빛을 발하도록 하는 것이지요. 그러기위해서 589nm의 나트륨광선을 레이저로 쏘아올리는 것입니다. 사진을 보시면 레이저 광선들이 노란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보이실 텐데, 그 이유가 바로 가시광의 약간 붉은 색으로 치우친 589nm의 색이기 때문이죠. 적응광학은 근적외선파장영역(1마이크론-10마이크론)에서 최적화되어있고, 근적외선에서 관측을 하게 되므로 이 레이저 광선은 관측엔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레이저참조성을 만드는 위치에 다른 천문대에서 가시광파장영역의 관측이 예정되어 있으면 할 수 없기 때문에 미리 마우나케아천문대연합내에서 그 여부를 허가 받는 절차가 필요하지요.


  적응광학에 대해서는  이전 하와이오신 백북스팀원들은 공부하셨지요?  별빛이 바람에 스치면 바람을 타고 흔들려서 반짝거리게 되지요. 바람이란 대기의 밀도변화를 이야기하고, 밀도변화가 일어나면 굴절률이 변하게 되어서, 별빛이 여기저기로 굽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눈에 들어오다 안오다 하니까 반짝거리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관측에서는 별상이 이지러지거나 퍼지는 효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별상의 반치폭(Full-width half maximum)을 정량적인 시상(seeing)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사진속에서 밝은 별은 크고, 어두운 별은 작게 보이지만, 모든 별의 반치폭은 거의 같습니다. 육안으로는 얼마나 별빛이 반짝거리느냐에 따라서 시상을 정의하고 있지요. 흐트러지는 별빛을 실시간으로 변형가능한 거울을 이용하여 한 곳에 모음으로해서, 광학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작은 회절한계에 이르는 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망원경이 크면 클수롤 이 회절한계는 작아지고, 더욱 더 자세하게 들여다 보는 것이 가능해 집니다. 이렇게 대기의 유동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밝은 별이 필요한 데 이걸 자연참조성(Natural Guide Star)이라고 합니다.  이것과 대비해서 인공적으로 레이저로 만든 점광원을  레이저참조성(Laser Guide Star)이라고 하죠.  제 1 세대인 자연참조성을 쓰는 적응광학계의 경우, 밝은 자연참조성이 약 30"이내에 존재해야한다는 제약이 있어,  적용할 수 있는 관측대상에 상당한 제한이 생기며,  거의 모든 외부은하들에 대해서는  가까운 곳에 밝은 별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기보정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제약을 넘어서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  대상천체 근처에 인공적인 레이저별을 만들자는 아이디어입니다.  이렇게 함으로해서, 아주 어두운 우주의 끝에 있는 외부은하들을 더욱 자세하고 보다 더 멀리 볼 수 있게 하고, 가까운 별탄생영역에서는 자연참조성과 함께 레이저참조성을 씀으로해서 더욱 더 섬세하고 안정적인 대기보정이 가능하게 되어서, 몇 천문단위(AU: 태양과 지구사이의 거리) 이내의 구조를 밝혀내고,  더욱 더 많은 외계행성계를 발견하기위한 가능성을 최대로 높일 수 있습니다. 


첨부해서, 수바루LGSAO팀에서 홍보용으로 짤막한 영상을 최근 공개했습니다. 레이저를 쏘아 올리는 실험관측장면을 담은 영상인데, 이전 백북스방문팀원중에서 몇 분이 관측하는 모습, 특히 실험관측하는 장면을 보고 싶다고 하신 분들이 생각나서 링크를 붙입니다. 영상에 일본말로 설명이 나오는 데, 거북하신 분들은 볼륨을 끄시거나 줄이시고 보셔도 무방하실 것 같습니다.


 수바루레이저적응광학실험관측영상 http://www.zero-co.com/sample/lgsao.html



  • ?
    이어진 2009.07.12 10:39
    안녕하세요, 박사님!
    설명 감사합니다.
    천문대에서 레이저를 쏘아올리는 이유를 비로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네요.

    함께 링크해 주신 영상도 잘 보았습니다.
    반가운 얼굴이 중간에 나와서 깜짝 놀랐네요^_^

    늘 건강하세요! 화이팅
  • ?
    서지미 2009.07.12 10:39
    현장에 한번 갔다왔다는 것이 얼마나 큰 차이로 시각을 자극하는지
    첨부된 자료 보면서 확연히 느끼게 되네요.
    마우나케야 밤하늘에 볓나는 3개의 레이저 광선;
    이자료를 보면서
    하와이 마우나케야천문대 올라가기전에
    수바로 천문대 영상강의실에서 보았던 자료들처럼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감사"

    모짜르트가 지었다는
    "반짝반짝 작은별(Twinkle, Twinkle, Little Star)"
    .......
    반짝반짝 작은별 아름답게 비치네~~
    동쪽하늘에서도 서쪽하늘에서도
    .......
    참 아름다운 동요이지요.
    여기서 "반짝반짝한 별"
    그 별빛이 왜 그렇게 반~짝반~짝하게 보이는지
    표박사님 글속에 답이 그대로 나와 있네요.
    .......
    별빛이 바람에 스치면 바람을 타고 흔들려서 반짝거리게 되지요. 바람이란 대기의 밀도변화를 이야기하고, 밀도변화가 일어나면 굴절률이 변하게 되어서, 별빛이 여기저기로 굽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눈에 들어오다 안오다 하니까 반짝거리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

    표태수박사님~~
    영상자료화면에 잠깐잠깐 보이는 표박사님 모습보며
    저도 어진이처럼 깜짝 놀랐어요~~^-^
    그리고 왠지 좀 자랑스럽다는 느낌도 들고요.
    LGSAO team 화.이.팅이예요.
  • ?
    전재영 2009.07.12 10:39
    마우나케야에서 지구적인 레이져 쇼가 벌어졌군요

    자연과학의 새로운 역사의 한페이지가 쓰여지고 있는 현장을 다녀왔고
    미처 보지 못했던 Laser Guide star를 아주 생생하게 볼 수 있게 되어서
    지금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표태수 박사님!!

    우리 인류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가 이 현장을 봤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지금까지 밝혀진 외계행성 목록을 볼 수있는 곳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방문해보는 것도 괜찮을것 같네요^^

    http://exoplanet.eu/catalog.php
  • ?
    정수임 2009.07.12 10:39
    아....저 세개의 선이 레이저에서 방출되는 빛,..와~예전에 손오공 만화에서 본것과는 다른 진짜 레이선 광선이네요^^
    정말 예쁘고 살아있는것같은 내옆에도 금방 빛이 다가와 속삭일거같아요.
    백북스에서는 만화로만보던것도 실제로 볼수있군요.
    정말 놀랍습니다.
    내일 학생들한테 진짜로 하늘로 퓡퓡~올라가는 레이저광선을 보여주고 미술수업자료로 활용해도 되겠지요?
    박사님 너무감사합니다.
  • ?
    김영이 2009.07.12 10:39
    박사님 중간 중간 표박사님 얼굴이 보이네요~ ^^ 반갑습니다. 조만간 편지 한번 쓸께요
  • ?
    장종훈 2009.07.12 10:39
    LGS를 뭐라고 번역해야 할지 난감했는데 관련 용어들을 우리말로 풀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 ?
    박승현 2009.07.12 10:39
    안녕하세요, 표태수 박사님!
    먼저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지난 겨울 영원히 잊지못할 마우나케아의 밤하늘이 다시 한 번 떠올라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박사님의 얼굴을 영상을 통해서나마 뵐 수 있어 반가웠습니다.^^
    마우나케아의 여름 밤하늘은 어떨까 궁금해지는 마음을 가슴 한 켠에 숨기면서... 마우나케아의 또다른 소식 기다리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
    문경수 2009.07.12 10:39
    늦은밤 영상을 다시 봤습니다. 가슴이 먹먹합니다. 표태수 박사님 항상 건강하시구요. 잊지못할 잊지못할 감동 만들어 주셔서 다시 한 번 마음속으로 깊은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5 24차 천문우주+뇌과학 회계보고입니다. 1 오창석 2009.11.09 2289
334 [공지] 11 / 7 (토) : 제 24차 천문우주+뇌과학 모임 안내 20 윤보미 2009.11.01 2510
333 제 24회 천문우주+뇌 과학모임 안내 박문호 2009.10.22 2281
332 작은 우주 '뇌'가 뜬다..특집기사(3) 3 서지미 2009.09.23 2385
331 작은 우주 '뇌'가 뜬다..특집기사(2) 4 서지미 2009.09.23 2378
330 [22차 천문우주+뇌과학] 서호주 학습탐사지역 지표물질 특성분석- 서지미 5 윤보미 2009.09.22 2392
329 여러분 모습이 아름다워서.. 7 윤보미 2009.09.19 4885
328 [22차 천문우주+뇌과학] -서호주학습탐사 공유- 2009년 9월 12일. 6 윤보미 2009.09.19 4064
327 22차 천문우주+뇌과학 회계 보고입니다. 오창석 2009.09.14 2069
326 [공지] 9 / 12 (토) : 제 22차 천문우주+뇌과학 모임 안내 5 윤보미 2009.09.11 2177
325 제 22회 천문우주+뇌 과학모임 안내 3 박문호 2009.09.10 2351
324 서울지역 천문우주+뇌과학 ktx이용공지(용산역) 6 김영이 2009.09.10 2565
323 [21차 천문우주+뇌과학] 2009년 8월 1일 사진 5 윤보미 2009.08.06 3541
322 공지 [공지] 8 / 1 (토) : 제 21차 천문우주+뇌과학 모임 안내 21 윤보미 2009.07.28 3306
321 제 21차 천문우주+뇌 과학 모임 안내 5 박문호 2009.07.16 2877
» 마우나케아 밤하늘에 빛나는 세 개의 레이저광선 8 표태수 2009.07.12 3034
319 [20차 천문우주+뇌과학] <0. 2009년 7월 4일 > 사진으로 보기 4 전재영 2009.07.12 3310
318 실리콘밸리 천문학강연 (podcast) 1 표태수 2009.07.10 2450
317 후기 제 20회 천문우주+뇌과학 늦은 후기 3 임동수 2009.07.10 3550
316 제 18회 천문우주+뇌 과학모임 안내 7 박문호 2009.04.27 23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