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인문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진과 인문학 | 우리가 응시하고 있는 것은 이미지일 뿐인가 (사진과 정신분석학 1)

- 일시 :?2015-11-26?(목) 오후 7시30분
- 장소 : 대전 카페 <늘픔>?
- 회비 : 없음
- 총무연락처 : 010-4420-7189

함께 읽을 이미지 :?우리가 응시하고, 응시되고 있는 이미지들
함께 읽을 책?:?『라캉 읽기』 (숀 호머 지음, 김서영 옮김)?

발표자 :?신동수 (abstract photographer, 정신과 의사)?
?

?

?

저자인 숀 호머Sean Homer는 자신의 책 서두에 자크 라캉Jacques Lacan이 정신분석의 창시자인 프로이트 이후 가장 중요한 정신분석가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는 전 세계 분석가의 50% 이상이 라캉학파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고도 했다. 그런데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에서는 물론 학회에서 라캉을 언급하는 것을 거의 보지 못했다. 정신과 의사인 발표자조차 [사진과 인문학] 모임을 통해 사진과 이미지를 공부하면서 라캉을 처음으로 만나 볼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런데 전 세계 분석가의 50%라니… 그나마 다행인 점은 나머지가 50%나 된다는 것.

학창시절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를 정립한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에게 매료 되어 결국 정신과 의사가 되었기 때문에 나름 정신분석 분야에서 알려진 학자나 분석가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잘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정작 임상현장에서 라캉을 만나거나 그의 논문이나 글, 책을 읽어야 할 이유가 거의 없었다. 오늘날 정신분석치료만을 고집하는 정신과 의사는 거의 없다. 전공의 시절 뉴욕에서 전문의 과정을 마치고 귀국해 우리나라에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소개하는데 평생을 바치신 은사께서 분석 과정 중에 내담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요법을 함께 쓸 것을 권고하셨던 기억이 난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psychoanalysis은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경과적 선택이며 언젠가는 신경과학neuroscience으로 설명하게 되는 날이 올 것이라고 했다.

신경과학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오늘날, 정신분석만을 공부하고 가르치고 고집하는 정신과 의사는 없다. 정신분석은 구시대의 유물로, 수련과정 중에 경험이 필요하니까 공부한다는 정도이고, 수많은 치료방법 중 하나쯤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유는 많겠지만 프로이트를 포함한 많은 정신분석가들조차 ‘정신분석이 과학이냐?’라는 질문에 명쾌하게 답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정신의학의 발전에 정신분석이 미친 영향이 크기는 하지만 증거-중심의 의학에 근간을 두고 있는 현대의학에서 정신분석은 아직도 애매한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이 책의 발제를 준비하며 놀란 점은 정신과 의사인 라캉의 글들이 오히려 예술계에서 널리 읽히고 토론되고 있다는 점이었다. 그가 프랑스 정신분석학회에서 분석가 자격까지 박탈당하고 방출된 인물이었다는 사실을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재미있는 현상이다. 그래서인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안에는 라캉모임이 없다. 정신과 의사인 김종주 선생님이 라캉읽기 모임으로 시작해 한국라캉학회(현재 공식 명칭은 ‘한국 라캉과 현대정신분석학회’)를 만들기는 했지만, 임상사례 보다는 종교, 사회, 문화, 정치적 이슈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그나마 임상사례에 대한 논문은 울산의대 강릉아산병원 정신과 백상빈 교수의 [영상기법을 통한 정신병 환자의 분석적 정신치료](2005년 겨울호) 정도인데, 환자에게 자유롭게 동영상을 찍어 오게 해 이미지를 통해 환자의 무의식을 분석하고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아주 초보적인 연구가 있는 정도였다. 이 논문과 한국에서의 라캉에 대한 재미있는 논쟁이 이글루(http://egloos.zum.com/coolleft/v/1796621)에 있어 소개해 본다. 이곳의 논쟁에서도 볼 수 있듯이 라캉은 우리 나라에 아직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듯 하다.

?그런데 임상현장 밖에서, 특히 예술계에서 라캉이 많이 읽히고 토론되며 인용되고 있었다. 거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을 것 같았다. 그 이유가 궁금해서 그를 만나 보기로 했다. 임민수 선생님의 권유를 받고 그에 대한 책 중 가장 부피가 작은 문고판 한 권을 찾았다. 이 책이 바로 이번 달에 함께 읽을 숀 호머의 [라캉읽기]이다. 책 안쪽 표지에 서점에서 받은 날짜가 2013년 11월 25일로 기록되어 있다. 300쪽 남짓의 이 책을 2년째 폈다 덮었다를 반복한 셈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 책의 영문판 pdf? 파일(https://iedimagen.files.wordpress.com/2012/01/jacques-lacan-routledge-critical-thinkers-sean-homer.pdf)이 공개 되어 있어 함께 대조하며 읽어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호사를 누릴 수 있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사진과 인문학] 모임에서는?라캉을 읽기는커녕 힐끔 바라보기만이라도 가능할 있었으면 하고 바라고 있다.?가능하다면 라캉의 용어들 사진과 이미지를 공부하는데 필요한 용어 정도는 함께 정리해 기회가 있기만을 바란다. 라캉을 포함한 정신분석가들은 자신의 이론을 죽을 때까지 수정하고 보완하기를 주저하지 않았고 자기 이론의 한계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학자로서는 참 바람직한 태도이지만 그를 따라가는 후학의 입장에서는 고통스럽기 그지 없는 일이다. 발표를 앞두고 인터넷에 올려져 있는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라캉의 불어 강의 영상을 구경(!)하기도 했다.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참 말은 잘하나 보다. 기표될 수 없는 언어란 무의식(?)으로조차 분석될 수 없는 무의미(!)한 잡음일 뿐인데… 이것도 또 하나의 무의식적 응시gaze의 일부일 것이니… 단지 믿는 것이 있다면 우리 [사진과 인문학] 회원들의 오랜 인문학적 감수성이 핵분열하기만을 간절히 바랄 뿐...

(신동수?2015.09.30)

?

?

<모임 장소>
카페 <늘픔>.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392-3번지. 042-863-0514

카페 늘픔.jpg

?

  • ?

    ArtnLiteraturanalysis.jpg

    ?

    ArtnLiteraturanalysis2.jpg

    ?

    ArtnLiteraturanalysis3.jpg

    ?

    ArtnLiteraturanalysis5.jpg

    ?

    ArtnLiteraturanalysis6.jpg

    ?

    2009년도 KAIST에서 예술과 문학, 그리고 정신분석에 대해 소개했던 파일 몇 장을 올려 놓습니다. 좋은 계절, 우리 모두를 풍성하게 해주는 독서, 공부기회가 되시기 바랍니다.??^-^a,·´″`°³оΟ☆

  • ?

    Jacques Lacan 2015.jpg

    [라캉읽기] · 2015

    ?

    Jacques Lacan 2014.jpg

    [라캉읽기] · 2014


    ________________________

    [라캉읽기] ppt 표지를 어제 바꾸었다.
    작년에 발표하려고 했던 계획이 미뤄지면서 생긴 일인데
    작년에 그대로 발표했더라면 큰일 날 뻔 했다.

    다시 읽고, 읽고, 또 읽고...
    읽으면 읽을수록 새로운 의문과
    찾아 읽어야 할 자료들이 산더미처럼 쌓여간다.

    아무래도 표지가 한 열 장은 더 늘어야
    비로소 "라캉 좀 읽었다"라고 할 수 있을 듯...
    ^-^a,·´″`°³оΟ☆

    ⓐminddr
    こころの醫師

    ?

  • ?
    김세영 2015.10.05 21:40
    기대만발입니다. 시각과 청각이 즐겁고, 뇌가 짜릿해지는 강의~~^^
  • ?
    임민수 2015.10.30 09:28

    <사진과 정신분석학 1> 라캉?공부는?10월에 이어 11월 모임에서도 계속 진행됩니다.

  • ?

    psychoanalysis.png

    ?

    “(정신)분석가를 양성한다는 것은 자아가 없는 주체가 만들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이것은 분석의 이상이며 잠정적인 목표로서 설정될 뿐이다. 자아가 없는 주체 ? 완전히 이상적인 주체 ? 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분석에서 목표로 삼아야 하는 주체의 모습이다.”

    ?

    - Margaret Little

  • ?

    ego-psychol-obj-relation.jpg

    ?

    "라캉의 정신분석에는 분석가의 저항이외의 다른 저항은 존재하지 않는다. 라캉에 의하면 분석가가 상징계적 위치를 거부하고 대신 상상계적 축에 머물 때 저항이 일어난다. 분석가들은 치료과정에서 저항을 도입시키는 것이 바로 자신들임을 깨달아야 한다.

    라캉은 세미나 IV에서 도라와 젊은 여성?동성애자의 사례를 언급하며 프로이트의 실패를 지적한다. 프로이트가 상황을 잘못 이해하여 분석 상황의 어떤 이야기들이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자아와 자아의 기능에 대한 강조와 함께 안나 프로이트의 경우와 같이 이론과 임상 양면에서 모두 상징계적인 차원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자신을 '상징적 타자'가 아닌 '상상계적 경쟁자'의 위치에 놓게 되는 것이다. 상징계를 간과하는 것은 무의식을 간과하는 것과 같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분석가들 사이에서 환자가 정동에 맞서 촉발시킨 방어기제를 무엇보다 먼저 분석해야 한다는 생각이 만연한다. 이것은 널리 보급되어 전국에 걸쳐 정신치료에 파급되었으며 분석가들은 환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도와 주어야 한다는 이론은 대중심리학의 정석으로 자리 잡았다.

    이때 전제되는 생각은 우리가 '억압된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 이것은 이미 억압된 것은 '정동(affect)'이 아니라 '표상(representations)'라고 주장한 프로이트에 상치된다 - 우리는 우리의 감정을 느끼지 못하게 만드는 방어기제를 제거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동에 대한 방어의 분석이라는 자아심리학 이론이 초래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라캉은 '정신분석가들은 이미 오랜 전에 환자의 욕망에 대해 더이상 숙고하지 않는다. 분석가들은 환자의 욕망(desire)을 요구(demands)로 환원시키는데 이것은 환자의 욕망을 분석가의 요구로 전환시키는 과제를 수월하게 만든다'라고 비판한다.

    라캉은 주체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음식을 제공하는 것은 요구(demands) 속에 배태된 욕망(desire)을 파괴하여 환자의 욕망을 단순한 욕구(needs)로 환원시킨다고 했다.

    라캉은 안나 프로이트와 에른스트 크리스의 두 쪽짜리 임상연구를 근거로 임상으로서의 자아심리학을 비판한다.

    라캉은 자아심리학을 프로이트의 가장 큰 기여로 간주하는 상징적 차원을 전적으로 제거하고 대신 상상계적 자아:자아의 관계 또는 현실과의 관계를 강조하는 분석의 한 경향으로 간주했으며 이에 대한 교정이 자신의 책임으로 여겼다."

    - Bruce Fink | 김서영 옮김 [에크리] 중 라캉의 자아심리학에 대한 비판 중에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
    프로이트의 딸인 Anna Freud를 포함해서 자신의 분석수련을 담당했던 Rudolph Loewenstein 등이 정립한 '자아심리학'에 대해 비판하고 있는 내용이어서 흥미롭다.

    특히 라캉은 프로이트가 성공적인 분석이 이루어진 사례들에서는 항상 '상징계적 타자'의 위치에 있었고, 실패한 사례들에서는 '상상계적 경쟁자'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다고 평가한다. 독창적이다.

    라캉의 입장에서 자아심리학이란 자아의 방어기제를 다룸으로써 굳이 무의식을 분석하지 않아도 의식의 수준에서 분석하고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해 프로이트의 가르침에 정면으로 대치된다고 보았다.

    우리 나라 정신분석은 라캉에 의해 철저히 프로이트에 대한 배신으로 비판되었던 '자아심리학'과 '대상관계이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부에서는, 표상이 아니라, '감정'을 분석하는 것이 프로이트식, 아니 한국식 정신치료라고?주장한다. 갈 길이 멀다.

  • ?

    How Lacan.png


    WHY, HOW LACAN?

    ________________
    어제, Ferdinand de Saussure(1857.11.26 - 1913.2.22)의 탄생기념일... Sean Homer와 김서영 선생님의 번역본에서 시작해 Bruce Fink, Roland Barthes까지... 라캉과 함께 한 긴 여정을 일단락 지었다. 홀가분할 줄 알았더니 뭔가 텅 빈 '공허함(无爲)만이 가득(!)'하다. 이런 '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이데커, 사르트르를 만나 봐야 할 것 같다. 라캉이 그랬듯이... 모두에게, 모든 것들(-Ucs)에 감사하며... ^-^a,·´″`°³оΟ☆

    ?

  • ?

    한 장으로 끝내는 에디푸스 콤플렉스...

    [PPT] One Shot! The Oedipus Complex and the meaning of the Phallus

    oedipus complex.png

    ?

  • ?

    Jacques Lacan_abs 2.png

    ?

    [PPT] 한 쪽으로 끝내는 라캉 (수정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공지 9월 모임 <스크린의 사회에서 사진 찍기와 영화 읽기> file 임민수 2018.08.18 342
45 공지 7월 모임 공지 (시점_사진과 영화1) file 임민수 2016.06.19 1182
44 공지 5월 모임 공지 (사진과 텍스트) file 임민수 2016.05.01 1686
43 공지 3월 모임 공지 (광고사진은 무엇을 욕망하는가) file 임민수 2016.02.22 2058
42 공지 1월 모임 공지 (보이는 것이 보이지 않는 것들을 불러내기) file 임민수 2016.01.05 2004
» 공지 11월 모임 공지 (사진과 정신분석학 1_우리가 응시하고 있는 것은 이미지일 뿐인가) 9 file 임민수 2015.10.01 2394
40 공지 9월 모임 공지 (사진 찍기로 시인-되기) file 임민수 2015.08.23 2228
39 일반 김영갑선생갤레리(두모악)을 들러서... 2 file 엄준호 2015.06.30 1953
38 공지 6월 모임 공지 (다른 세상에서 온 듯 멀리 서있기) file 임민수 2015.06.04 2134
37 공지 5월 모임 공지 (카메라-인간 Ⅱ) file 임민수 2015.05.07 2131
36 공지 3월 모임 공지 (인간의 지각체계는 어떻게 바라보는가) 1 file 임민수 2015.02.28 2192
35 공지 2월 모임 공지 (일상은 어떻게 사진 찍히는가) file 임민수 2015.02.05 1990
34 1월 모임 공지 (인물 사진 찍기와 포즈) 임민수 2015.01.02 2027
33 공지 11월 모임 공지 (사진 찍기, 세계와 내가 펼쳐지는 시간) 임민수 2014.11.04 2444
32 10월 모임 공지 (예술사진가들의 수많은 생각들) 임민수 2014.09.06 2157
31 자료 걷다 보면 ... 길 위의 사진가 김진석의 걷는 여행 신동호 2014.08.12 2548
30 9월 모임 공지 (한국적인 것을 찾아 헤맨 사진가 이야기) 임민수 2014.08.10 2087
29 6월 모임 공지 (사진철학의 풍경) 2 임민수 2014.05.12 2587
28 육명심 선생님의 '이것은 사진이다'를 추천합니다. 1 신동호 2014.04.25 2194
27 4월 모임 공지 (눈의 탄생-동물은 어떻게 보는가) 7 임민수 2014.02.13 30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