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칼럼
2013.05.06 09:00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1

조회 수 2515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자연의 습성을 파악하려는 노력을 자연과학이라 한다면 인문학이란 인간의 습성을 파악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있겠습니다. 그리고 자연과학 중에서 특히 자연의 습성을 '힘'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모형을 물리학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즉 물리학이란 인간이 자연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일종의 인지 모형으로 볼 수 있다는?말입니다.?어쨌든 인간의 습성의 근저에는 당연히 자연의 습성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인간의 습성을 단지 일상적인 수준에서 살펴보고자 한다면 굳이 자연의 습성이라는 존재의 근저까지 내려갈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인간의 인지 과정과 관련하여 인지과학의 <인천모형>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먼저 인간의 인지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 그림에 보인 바와 같이 {심리층-생리층-물리층}라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인지의 3층 구조 중 물리층에는 존재하지 않던 <생명>이라는 현상이 생리층에서 창발성으로 나타나게 되고 또한 생리층에는 존재하지 않던 <마음>이라는 현상이 심리층에서 창발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런데 생리층에서 창발되는 <생명>이라는 현상이 생물리학 및 생화학 반응에 기초하고 있는 반면 심리층에서 창발되는 <마음>이라는 현상은 언어에 기초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 인간의 뇌가 음성 신호라는 입력을 정보라는 출력으로 컴파일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인간은 마침내 '언어'라는 독특한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이때 언어의 컴파일 과정은 감각자료를 코드화함으로써 입력 정보의 양을 엄청나게 압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즉 두뇌가 갖는 일정한 용적이라는 물리적 공간상의 제약 문제에 대해 언어의 컴파일 능력에 의한 정보량의 압축이라는 특이한 방식이 특단의 해결책으로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이 특단의 해결책으로 인해 인간에게서만 볼 수 있는 전혀 차원이 다른?독특한 진화의 계기가 마련됩니다. 다시 말해 인간은 언어의 컴파일 능력을 이용함으로써 두뇌의 물리적 확장이 아닌 기능적 확장이 가능하게 되었고 마침내 이를 통해?용적을 초월한 두뇌 공간의 실질적 확장을 성취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
아마도 이 과정은 진화의 역사에서 두 번에 걸친 실체적인 인간의 뇌 용량 확대 사건 이후에 일어난 이른바 '문화 대폭발' 사건의 계기가 아니었을까 하는 추측을 낳게 합니다.?이러한 물리적 확장이 아닌 기능적 확장이라는 해결책의 이해는 컴퓨터 프린터의 파일 처리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도움이 될?것입니다. 즉 과거의 프린터는 'BMP-형태'처럼 용량이 큰 파일로 입력됨으로써 용량과 처리 속도에 큰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현대화된 프린터는 'JPG-형태'처럼 코드화된 파일로 입력됨으로써 용량과 처리 속도에 있어서 차원을 달리하는 비약적인 발전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
그런데 여기서 이른바 <의식>이라고 부르는?존재의 위치가 문제가?됩니다. <의식>이라는 현상은 심리층에서 창발되는 <마음>이라는 존재와 달리 생리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생명>이라는 개념이 '물질대사'와 '정보대사'가 함께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 개념임을 감안할 때 정보대사의 실현을 주관하는 존재를 <의식>이라 보아야 하겠고 따라서 <의식>이라는 개념은 <생명>이라는 개념의 직접적인 연장선상에서 이해되어야 하겠기 때문입니다. 물리층으로부터 한 단계 올라간 생리층에서 창발되는 <생명> 현상과 관련해서, 정보대사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생명> 현상을 들여다볼 때, 과연 <의식>이 제외된 <생명>이란 것을 생각해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그래서 <의식>이란 사실 <생명>의 구현 방식을 의미하는 개념이라 볼 수 있겠고 그렇다면 <의식><생명>의 또 다른 이름으로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인지의 3층 구조를 살펴보면 심리층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사건 P는 심리현상 A로부터 심리현상 B로의 이행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때 각각의 심리현상에 대해 생리현상 AB을 생리층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고 더 나아가 각각의 생리현상에 대해 물리현상 AB을 물리층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심리층에서 일어나는 사건 P는 생리층과 물리층을 통해 일어나는 사건으로의 변환이 가능할 것이며 아래에 보인 도식처럼 표현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인간의 인지 과정을 일상적인 수준에서 살펴보고자 한다면 무엇보다도 심리층에서의 현상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므로 모든 심리적 사건에 대해 번번이 생리층이나 물리층으로의 변환을 포함시킨 복잡한 분석을 통해 이해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P(AB) = P(AA′→B′→B) = P(AA′→A″→B″→B′→B)

??
물리층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서는 <시각(時刻)>이라는 개념이 전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한편 생리층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서는 <시간(時間)>의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심리층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서는 <시각(時刻)>이라는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그런데 어쩌면 물리층에서 조차도 <시간(時間)>이라는 개념이 그다지?심각한 존재가 아닐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시간(時間)>이란 개념은 인간이 '변화'라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고안해낸 매개변수[parameter]에 불과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즉 인간은 변화라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선후(先後)>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그 다음에 다시 <선후(先後)>의 사이를 <시간(時間)>이라는 개념으로 채워 넣게 됩니다.?
??
한편 생리층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모두 <생명>이라는 현상에 관여하게 되는데 이때 <생명>에 필요한 변화를 이루는 각 단계들이 제 때에 때맞춰 일어나지 않는다면 <생명>이라는 현상 자체가 이어지지 않는 결과를 낳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생리층의 사건들에서는 <시간(時間)>이라는 '간격의 개념'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리층에서의 사건들은 단계별 변화에 있어 변화의 연결에 필요한 간격인 <시간(時間)>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뿐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누적된 개념인 <시각(時刻)>은 중요하지 않다고?볼 수 있겠습니다.
??
그런데 심리층에서의 사건들은?성격이 전혀 다릅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시공간상의 지각 범위가 거의 무한으로 확장되기에 이르렀고 이에 따라 마침내 사건들을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누적시켜 바라보고 정리하는?절대적 관점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즉?인간에게 있어서는 <마음>의 출현으로 인해 <시각(時刻)>의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 것입니다.?

?? 물리층에서의 사건들은 물리학을 통해 연구가 가능하겠고 생리층에서의 사건들은 생물학을 통해 연구가 가능하겠습니다. 그리고 심리층에서의 사건들은 철학을 통해 연구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인지 과정은 당연히 뇌와 관련되므로?인지의 3층 구조는 자연히 뇌의 연구와 관련될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인지에 초점을 맞춘다면 뇌에 관한 관심은 다소 제한적이어도 상관이 없을듯 싶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이어나갈 이야기에서는?물리층에서의 물리학 이야기와 심리층에서의 철학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쳐볼까 합니다.

?

  • profile
    주민수 2013.05.06 09:00
    생리층에서 창발성으로 나타나는 <생명>이라는 현상이 물리층에서의 수동적 현상들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바로 <능동성>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생명>의 양대 요소중 물질대사는 수동적 현상인데 반해 정보대사는 능동적 현상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의식>이라 부르는 존재가 바로 이 <능동성>의 다른 이름이라고 생각해 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관점의 표현입니다.

    세포의 의식에 관한 문제는 먼저 '생명'과 '생명체'의 차이에 대한 정의부터 살펴보아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어쨌든 생존을 위해 독립적으로 물질대사와 정보대사를 수행하는 개체라면 모두 능동성을 갖춘 생명체로 보아야 하고 이렇게 능동성을 갖춘 존재라면 또한 의식을 지닌 존재로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세포가 과연 이 조건을 충족하는가 즉 생존을 위해 독립적으로 물질대사와 정보대사를 수행하는 개체인가 하는 문제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 profile
    주민수 2013.05.06 09:00
    "의식에 대한 정의를 너무 확장한 것"이라는 미선님의 지적은 정확한 지적입니다.
    사실 저는 "의식"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그래서 본문에서 제가 <의식>이라는 용어로 의미하는 바는 "넓은 의미의 의식" 입니다.
    한편 연구자들의 세가지 특성에 의한 "의식"의 정의는 약간 인간 중심적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저는 최-고등 의식인 "인간의 의식"을 <마음>이라는 표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의 <능동성>은 "에너지를 비용으로 엔트로피를 극복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인지 과정과 관련한 제안으로 첫번째 글인지라 비교적 단순하게 표현하려고 했는데 그러다보니 지나치게 단순화된 느낌이 듭니다.^^
  • ?
    엄준호 2013.05.06 09:00
    개인적으로 주박사님게 제안을 드리고 싶습니다. 주 박사님과의 토론에서 항상 부딪히게 되는 어려움 중 하나는 용어의 정의문제입니다. 즉 제가 생각하는 어떤 단어의 뜻과 박사님이 생각하시는 뜻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예로
    윗글에서 능동성을 그렇게 정의하신다면 세균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는 다 능동적 입니다. 그렇게 되면 세균도 의식을 갖고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의식은 미선님이 말씀하신바와 같이 고등동물에서 볼 수 있는 생명현상입니다. 박사님이 정의하신 "마음=인간의 의식" 도 마찬가지입니다. 제 생각엔 박사님의 이론을 펼치실 때 어떤 용어를 일반적인 정의와 다르게 사용하실 것이라면 차라리 혼동을 피하기 위해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그것이 오히려 박사님의 생각을 훨씬 쉽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 profile
    주민수 2013.05.06 09:00
    용어의 사용 문제로 엄박사님께 계속 혼란을 드리는군요.^^
    이 기회에 저의 용어 사용에 대해 확실히 해야겠습니다.

    저는 인간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자연히 인간의 인지과정 외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그래서 인지과정과 관련해서 제안하는 인천모형은 인간의 인지과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즉 인지 3층 구조의 상위층이 <심리층>인데 이는 오직 "인간의 의식"인 <마음>에 관한 층위입니다.

    "동물의 의식"이라는 개념과 관련해서는 다른 사람들과 같은 생각입니다. 즉 저도 '이런 종류의 의식'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에 공통으로 존재한다고 봅니다. 여기서 잠깐 바스의 '전역 작업공간'이라는 모형을 확장/적용해서 설명한다면, 동물의 종류에 따라 '작업공간'의 크기가 다른데 바로 이 '작업공간'의 크기가 '이런 종류의 의식'의 차원 즉 <하등/고등>-의식이나 <저차/고차>-의식과 같은 의식의 차원을 결정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제가 <마음>이라고 부르는 존재는 '작업공간'의 크기와 상관없이 이러한 '작업공간'에는 포함되지 않는 속성을 갖는 즉 '기존의 의식'과는 무관한 개념이라는 점입니다.

    "동물의 의식"은 인천모형의 인지 3층 구조 중 중위층인 <생리층>에서 이야기될 내용으로, 흔히들 이야기하는 "인간의 의식"과는 전혀 다른 종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실 저는 이에 대해 '의식'이라는 표현보다 "지각"이라는 표현을 사용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 ?
    엄준호 2013.05.06 09:00
    여전히 혼란스러울 것 같습니다만..^^
    주 박사님의 의식이론은 "창발론"인 것 같습니다. 저도 창발이론을 가끔 인용합니다만
    창발론은 "의식? 마음?"이 창발하는 조건을 제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질문드리고 싶은 것은 창발적인 인간의 마음을 이야기하는데 생물학도 아니고 물리학을 이야기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profile
    주민수 2013.05.06 09:00
    엄박사님// 이 글의 의도는 인천토요공부모임에 동참하는 백북스 회원들과 함께 인간에 대한 공부를 계속해 보고자 공부 방향에 대해 올린 글입니다. 그런데 인간에 대한 공부라고 하면 너무 막연한 느낌이 들어서 우선 인간의 인지 과정에 초점을 맞춰 보자는 것입니다. 본문에서 생명과 마음이 창발된다는 표현을 썼으니 얘기가 당연히 창발론과 관련을 갖겠지만 사실 저는 창발론 자체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그리고 제가 주장하는 '의식 이론'이란 것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의식'이라는 개념 자체를 부정하는 입장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물리학을 인간의 인지 모형의 일종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먼저 물리학을 통해 인간이 자연을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있는지 그 기본적인 인지 과정을 백북스 회원들과 함께 토요공부모임에서 얘기해 보려고 하는 것입니다. 물론 그러다 보면 마침내 진정한 <인천모형>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갖추어지리라는 믿음과 희망을 갖고 있습니다만...

    미선님// 제가 정의한 마음은 언어에 의해서만 가능한 존재이므로 동물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굳이 비교한다면 미선님이 얘기하는 인간의 '고도의 추상 능력'이 제가 '마음'이라고 부르는 존재에 제일 가까운 개념일 것 같습니다. 기존의 '의식'과 '마음'이라는 용어로는 제가 생각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으므로 저는 '의식'이라는 용어를 매우 넓은 의미에서 그리고 '마음'이라는 용어를 매우 좁은 의미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김형태총무님// 앞으로 인천토요공부모임을 통해 좀더 구체적인 생각의 얼개가 드러나겠지만 백북스 회원들끼리 인간의 인지 과정에 대한 공부를 우선 시작하고 보자는 생각에서, 즉 "우리들의 이야기를 우리들끼리 한번 시작해 보자!"는 뜻으로 <인천모형>이라는 표현을 감히 붙여 보았습니다.^^ 타인의 주장과 이론을 거름삼아 각자 자기만의 모형을 만들 수 있을 때 진정한 공부가 된다는 생각을 실천하는 계획의 첫 단추라 보시고 김총무님이 시안(?)을 마련해 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안희찬회장님과의 의논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봅니다만... 이번 공부의 기본 주제는 인간의 인지 과정입니다. 좀더 구체적인 내용과 소재에 대해서는 정리되는 대로 올리겠습니다.
  • profile
    김형태 2013.05.06 09:00
    주민수 박사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가 경황없는 일들이 생겨 게시판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말씀해 주신, 부분들을 심사숙고하여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안희찬 인천모임 회장님께서 준비해 주셔서 공부모임 장소도 일단은 임시적으로나마 시작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2 1 주민수 2013.07.06 2358
403 칼럼 가자니가의 <뇌로부터의 자유>를 읽고-1 3 주민수 2013.06.23 2132
402 공지 박제윤 교수님 번역 <뇌과학과 철학> 구매 안내 1 김형태 2013.06.23 1687
401 현장스케치 7/20 (토) 인천해석 제20회 공지 및 제19회 (스케치) 6 김형태 2013.06.23 2054
400 공지 6/22 (토) 가자니가 <뇌로부터의 자유> (최종공지) 4 김형태 2013.06.18 1748
399 공지 7/12 (금) 제53차 <카라마조프의 형제> 2회 (공지) 2 김형태 2013.06.15 1637
398 현장스케치 제52차 인천백북스 4주년 기념 모임 (스케치) 3 김형태 2013.06.15 1695
397 공지 인천백북스 공부모임 장소 안내 김형태 2013.06.14 4099
396 자료 제51차 발제 자료(칭기즈 칸과 쿠빌라이 칸) 5 file 유연성 2013.05.26 2018
395 후기 제51차 <칭기스 칸과 쿠빌라이 칸> 후기 5 김형태 2013.05.25 2134
394 현장스케치 제51차 유연성 회원(경영학 박사) 스케치 (회계) 3 김형태 2013.05.25 1586
393 공지 5월25일 뇌인지과학회 행사 1 file 박제윤 2013.05.20 1538
392 가입입사드립니다~ 3 안세승 2013.05.17 1392
»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1 7 주민수 2013.05.06 2515
390 후기 <카라마조프의 형제> 함께 읽고 생각하기 5 김형태 2013.05.06 2157
389 칼럼 제50차 <인문학에게 뇌과학을 말하다>의 발제 자료 4 주민수 2013.04.20 2855
388 공지 절판도서 <뇌의 마음> 구매 계획 (취소) 4 김형태 2013.04.16 1687
387 공지 인천백북스 / 인천해석 재개 방안 제안 (공지) 5 김형태 2013.04.16 1800
386 공지 6/14 (금) 제52차 < 카라마조프의 형제 > (공지) 2 김형태 2013.04.16 1922
385 현장스케치 제50차 주민수 회원(물리학박사) 스케치 7 김형태 2013.04.13 19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