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151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65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 안내?<뇌처럼 현명하게>


- 일시 : 2015.03.23. (월) 19:00

- 장소 : 인천불교회관 청소년문화원 2층 강의실

-?발제 :?박제윤 교수 (?인천국립대학교 기초교육원 객원교수)

- 회비 :?없음


- 문의 : 회장 안희찬
010-8712-1429
- 문의 :

- 선정도서 :?뇌처럼 현명하게/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 박제윤, 김두환 옮김/

???????????????????????????????? 철학과 현실사



뇌처럼 현명하게 : 신경철학 연구


이 책은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신경철학》의 후속편이다. 뇌과학의 새로운 개념 체계 내에서 마음의 본성에 관한 옛 의문들을 명료한 대화 방식으로 돌아보고 있다. 신경화학물질, 뉴런, 시스템, 그리고 전체 뇌 등 여러 수준에 대한 연구로부터 이 책은 우리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그리고 그 연구 결과로부터 우리가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등에 관한 신경철학의 현 상태를 최신 정보에 근거하여 전망한다.

저자소개

저자 : 패트리샤 처칠랜드

역자 : 박제윤, 김두환???????????????????????????????

????????????????????

????????????? 역자 박제윤은 인천에서 태어나 인하대 공업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일반사회교육을 전공했다. 입시학원 강사로 근무하다가 다시 인하대 대학원 철학과에 입학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처칠랜드 부부의 신경철학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는 인천국립대학교 기초교육원 객원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서문
1장 서론

Ⅰ부 형이상학
2장 형이상학 소개
3장 자아와 자신에 대한 앎
4장 의식
5장 자유의지

Ⅱ부 인식론
6장 인식론 소개
7장 뇌는 어떻게 표상하는가?
8장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Ⅲ부 종교
9장 종교와 뇌


참고문헌
찾아보기
  • ?
    박제윤 2015.03.22 21:52
    이번 공부는 인식론을 중심으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책, <뇌처럼 현명하게> 의 6장, 7장, 8장을 읽어가면서 설명을 곁들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책을 가져오실 필요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인식론은 일찌기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에서 보여주었으며, 이후로 철학에서 인식론다운 연구서가 나오지는 못했습니다. 이제 처칠랜드는 신경학적 근거를 가지고 전통 철학의 중심 주제 중에 하나인 인식론을 새롭게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의 인식론을 통해서 처칠랜드는 다음과 같은 우리의 의문에 대답을 해주고 있습니다.

    1) 우리 인간의 포함하여 동물 일반에게 표상이란 무엇일까?
    2) 우리 인간은 언어적으로 사고하는데, 그 과연 언어를 갖지 못하면 사고 혹은 생각을 갖지 못하는 것일까?
    3) 현재의 컴퓨터와 인간(동물)의 표상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4) 인간의 표상이 뇌의 어느 장치에 의해서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인가?
    5) 우리 인간이 대략적인 감각을 통해서 원형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플라톤이 궁금해 했던 주제로, 모래 위에 그린 대략적 원을 보면서, 우리가 완전한 원을 마음 속에 그려볼 수 있는 능력이 신경계의 어떤 작용에 의해서 나타나는가?)
    6) 신경인식론은 표상의 의미론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즉, 이미가 어떻게 신경망의 표상으로부터 나오며, 표상이 어떻게 사물과 관계할 수 있는가?
    7) 신경계는 여러 서로 다른 표상 정보들을 어떻게 통합해내는가? 즉, 우리가 다양한 감각정보를 통합 혹은 통일하여 무엇을 그것으로 볼 수 있는 신경계의 작동원리가 무엇인가?
    8) 우리의 인지적 능력의 선천성과 후천성을 새로운 신경인식론은 어떻게 말해주는가?
    9) 우리는 어떻게 학습하고, 기억하며, (무의식적 추론을 포함하여) 추론하는가?
  • ?
    박제윤 2015.03.22 22:00
    서문

    『신경철학(Neurophilosophy)』(1986)을 출간한 이후로 신경과학 관련 분야에서 적지 않은 발전이 있었다. [이 책은 역자, 박제윤에 의해서 『뇌과학과 철학』이란 제목으로 2006년 번역되었다.] 특히 ‘계산적 방법’, ‘신경과학 기술’, 그리고 ‘여러 분야들 사이의 연결’ 등에서 선구적 진전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분자생물학과 신경과학 사이에, 그리고 실험심리학과 신경과학 사이에 풍성한 상호활동이 있었다. 신경과학이 자신들 고유의 문제에 적절하지 않다고 자의적으로 염려했던 철학자들도 ‘신경철학’의 발상에 차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만약 20년 전에 누군가 대학 학부과목으로 신경철학을 개설하자고 제안했더라면 농담으로 들렸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그러한 과목들이, 심지어 당당히 “뇌를 반대했던(antibrain)” 학과들에서조차, 연이어 개설되고 있다. 철학과 학생들뿐 아니라 과학 분야의 학생들도 철학의 큰 문제들, 즉 의식, 자유의지, 자아 등의 본성에 대해 갑론을박하고 있으며, 그들은 모두 그 논의의 진전을 위해 신경과학의 증거들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이제 철학적 동향이 바뀌었음을 감지하고서, 그 소개서가 없다고, 즉 단일 저자에 의한 신경철학 교과서가 없다고 내 옆구리를 찔러댔다. 이 책은 그러한 요구에 대한 응답이다.
    하나의 소개서로서, 이 책은 뇌과학(즉,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이 철학의 전통 주제들에 어떻게 다가설 수 있을지를 기초적이며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이 기초적이어야 하는 만큼, 그 목적에 걸맞게 교육적으로 쓸모 있으면서도, 간결하며, 정갈해야 한다. 그러므로 불가피하게, 이 책이 추천하는 도서목록의 숫자를 줄여야만 했다. 그로 인해 불가피하게, 어느 분야의 연구가 가장 핵심이며, 어느 논의가 다룰만한 가치가 있는지 등에 대해 다분히 의도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비록 그 선택이 내가 바라보는 세계의 그림을 더욱 투명하게 보여줄 목적을 달성할지라도, 그에 대한 대가도 따르기 마련이다. 그 선택된 연구서들이 함축하는 내용들을 말하지 않고 뭉뚱그려버림으로써, 혹시라도 일부 학자들의 신경을 곤두서게 만들거나, 심지어 격렬히 분노하게 만드는 측면이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결국 여기 선택된 목록들은 분명히 그것들이 쓰일 목적에 적절히 활용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 책에서 나의 일차적 목적은 철학적 문제들을 뇌과학으로 바라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기대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쓰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 책을 백과사전처럼 만들기는 어렵겠지만, 일관성이 있고 압축적으로 만들려고 하였다.
    어느 책이라도 소개서로 유용하려면 다루려는 주제에 관해 많은 배경지식을 요구(전제)하지 말아야 한다. 나는 그러한 규칙을 지키려 노력했다. 그렇지만 부득이 신경과학 또는 인지과학 지식이 전무한 초보자라면 필요에 따라서 짧지만 좋은 소개서를 읽어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선택을 돕기 위해 나는 각 장의 서두마다 독서목록들에 대한 일반적 조언을 하였으며, 이어서 특정 주제에 대해 조언을 남겼다. 초보자들을 위해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학술지, 웹사이트, 백과사전 등이 있다. 따라서 나는 그러한 좋은 리뷰 논문들이 실리거나 또는 뇌과학 발달을 따라잡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널리 인정되는 학술지 목록도 열거하였다.
    이 책은, 다른 철학 책에서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내용보다, 많은 신경생물학의 구체적 내용들을 담고 있다. 그렇게 해야만 했던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 만약 당신이 ‘의식의 본성’ 또는 ‘학습의 본성’과 같은 철학적 문제들을 더욱 잘 다루고 싶다면, 신경과학의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단지 우쭐대기 위해서가 아니라도) 필수적임을 사례로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지속적으로 철학자들이 마주치는 어려움은, 스스로 기초 신경과학에 충분히 정통하여, 어느 보고된 실험 연구결과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 의미가 어떤 철학적 의미를 제공하는지 등을 말할 수 있어야 하는 문제이다. 비록 내가 그 모든 어려움을 이 책에서 해소시켜주지는 못하겠지만, 어느 정도 줄여줄 수는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 나는 이 책에서 선별된 실험의 구체적 내용들을 설명할 것이며, 그럼으로써 그 실험 기획이 무엇이고, 그 실험 대조군의 본성은 무엇인지, 그 실험에서 (가능한) 해석의 결함은 무엇인지 등을 이해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선별된 실험의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이 책이 독자의 인지작용(cognitive operations)을 질식시키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 인지작용을 위해 시간적이며 공간적인 문제들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철학자이며 컴퓨터 과학자인 브라이언 스미스(Brian Smith)가 한때 생각에 잠겨 말했듯이, 뇌가 아주 잘하는 것들을, 그 인지작용은 매우 느리게, 시간을 길게 늘어뜨려, 반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인지작용은 (현존하는 컴퓨터들이 결코 할 수 없는) 문제풀이(problem-solving)이며, 창의적 활동이다. 같은 맥락에서 프랜시스 크릭(Francis Crick)이 주목했듯이, 너무 서두르면 아마도 오히려 시간 낭비가 될 수 있다. [즉, 만약 신경과학과 철학적 내용에 낯선 독자라면, 시간을 들여 천천히 읽어서, 뇌에 새로운 도식이 형성되도록 느린 독서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명심하고, 나는 참고도서 목록을 무수히 추천하고픈 충동을 자제하겠다. 내가 추천하는 도서 목록들은 나의 개별적 편견을 반영하므로, 호기심 어린 독자라면 다른 관점에서 그 범위를 넘어서는 것도 무방하다.
    반복해서 말하지만, 나는 과학의 역사를 돌아보는 것이 지금 내 입장을 돌아보는 데에 매우 도움이 된다고 여긴다. 사실상 신경과학은, 뇌 기능을 지배하는 기초적 설명 원리들을 여전히 더듬고 있다는 의미에서, 아직 미성숙한 과학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신경과학은 분자생물학과 대비된다. 예를 들어, 분자생물학은 유전자의 화학적 구조에 대한 기초 원리가 무엇인지, 즉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고, 단백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등을 필수적으로 다룬다. 반면 신경과학은 아직 풋내기 수준이므로 우리는 아마도 기껏해야 탐구될 것이 무엇인지 아주 희미하게 아른아른 볼 수 있을 뿐이며, 게다가 그 발견이 마음의 본성에 대한 우리의 확고한 확신을 앞으로 어떻게 변화시킬지 장담할 수도 없다. 우리가 어쩔 수 없이 가지는 것이긴 하지만, 우리의 진심 어린 확신들이란 때로는 지적 탐구에 방해물일 수도 있다. 그런 확신들은 마치 타협의 여지가 없는 확신처럼, 영원한 진리처럼, 혹은 마치 형이상학적 진리처럼 보이곤 한다. 진심 어린 확신이 비록 신뢰를 제공하긴 하겠지만, 그것은 사실상 관습적 지혜의 한 조각에 불과하다. 과학의 역사는 관습적 지혜에서 나온 이야기를 지지하는 태도가 진보의 방해물, 상상의 실패자 또는 도그마(독단)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역사가 보여주는바, 이따금 터무니없는 생각이 옳은 것으로 변화되기도 하지만, 그런 생각이 결코 옳은 것이 될 수는 없다.
    그러한 역사적 교훈이 다른 분야들에도 유용하다는 희망에서, 나는 과학 이야기, 즉 ‘현안의 문제들에 유용한 미끄럼틀을 제공하는’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그것은 과학적 오만과 과학적 망각에 관한 이야기들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오류와 과학적 발견에 관한, 그리고 과학적 고집과 겸손 등에 관한 이야기들이다. 또한, 많은 것들이 돌연 엉터리로 밝혀지는 관습적 지혜에 근거한 이야기들이다. 그것들은 특별히 (해당 주제와 상관없는) 가장 넓은 의미에서 지식을 위한 탐구에 해당된다. 그러한 이야기들은 우리의 ‘지식’과 우리가 느끼는 ‘확신’을 구별하게 만들며, 우리에게 생각할 여지를 제공한다. 기이하게도 과학의 역사는 과학 분야의 학생들에게 거의 가르침이 되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질문을 어떻게 물어야 하며, 힘겨운 문제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등을 이해시켜주는 것은 바로 그것이다.
    당연히 나는 현재 철학적 정설을 마주함에 있어 철학의 역사를 소중하게 여긴다. 내가 그렇게 여기는 것은, 철학 분야의 위인들이 나보다 많이 안다고 여기고, 그들의 얼빠진 이론에 동조하기 때문에서가 아니다. 사실 그들은 나보다 더 많이 알지 못했다. 강조하건대 나는 다른 이유에서 그 역사를 소중하게 여긴다. 일부 위대한 사상가들은 많은 오늘날 주류 철학자들보다도 그들의 관심사가 대단히 넓었으며 일반적으로 자연에 관해 훨씬 많은 호기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것은 내가 여전히 좋아하는 옛 분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흄(Hume), 그리고 퍼스(Peirce)에 대해 분명히 옳다. 내가 그들을 좋아하는 것은 그들이 명료하고, 사려 분별이 있었으며, 논리적이고, 대담했다는 그럴 만한 이유에서이다. 그렇다고 이러한 특징들이 숭배에 필요한 미덕은 아니지만, 누구라도 사물들의 본성을 이해하고 싶다면 미덕으로 여기게 될 것이다.
    내 의견에 따르면, 꽤 주류 철학이 아니라고 여겨지는 상당 부분에서 (철학적으로) 학술적 수준의 흥미로운 활동이 이제 막 발견되고 있다. 그러한 연구는 학문간 경계를 무너뜨리는(cross-disciplinary) 탐구를 열정적으로 해온 성과이다. 그러한 성과를 통해서 이제는 학술 분야들 사이에 단지 행정적 편리를 위한 경계가 남아 있을 뿐이다. 철학과 학생들은 개방적인 실험실에 드나들고 있으며, 반면에 신경과학, 인지과학, 컴퓨터과학 등의 학생들은 마음에 관한 철학적 질문들이 근본적으로 단지 마음에 관한 개괄적 질문일 뿐이며, 그것들이 실험적 기술에 의해 해명될 것이라고 깨닫기 시작했다. 또한 그들은 철학이 논리적 지뢰밭이 있는 곳을 발견하기에 종종 유용하다는 것을 배우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철학에도 거꾸로 확산되고 있어서, 철학을 훨씬 더 왕성하고 확장적인 학문으로 (아주 오랜 역사 대부분에서 철학이 그러하긴 했지만) 만들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거대한 질문을 가지고 신경과학에 들어섰지만, 언제까지나 ‘단백질에 표식을 달고(tagging proteins)’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을 격려한다. [역자: 거대한 질문에 대답을 찾을 것이라 기대하고서 과학 실험실에 입문한 학생들은 흔히, 예를 들어, 실험 준비를 위해 단백질에 표식을 다는 등, 자신의 미시적 실험 조작에 자괴감을 가지기 쉽다. 그러나 그들이 자신의 연구에 대한 넓은 철학적 시각을 갖게 된다면, 그들의 역할에 격려가 될 것이다.]
    수년간 많은 사람들이 나에게 ‘뇌’와 ‘과학을 어떻게 탐구하는지’ 등에 관해서 가르쳐주었다. 나는 그들 모두에게 그 점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한다. 우선적으로 프랜시스 크릭은 마르지 않는 생각의 원천이었다. 독창적 생각을 이끌어내고, 때로는 (결함이 있지만) 확신을 주는 생각을 만들어내었다. 문제점이 있으면 가차 없이 지적해주어, 내 자신이 스스로의 이론에 빠져드는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해주면서도, 주저하는 문제에 과감히 뛰어들도록 용기를 주기도 하였다. 더구나 크릭은 나의 지속적인 열정과 어설픈 회의주의 모두에 지속적으로 공정하게 비평해 주었다. 과학사에 대한 그의 지식과 특별히 분자생물학사에 대한 그의 개인적이고 상세한 지식은 나에게 신경과학을 (다른 방식으로는 결코 생각하지 못했을) 하나의 학문으로서 전망하도록 해주었다.
    안토니오와 한나 다마지오(Antonio and Hannah Damasio) 부부는 나에게 시스템 수준의 신경과학에 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인내하며 가르쳐주었으며, 임상적 연구에서 수집된 자신들의 통찰을 은혜롭게 제공하였다. 또한 그들은 내가 틀에 박힌 생각에 안주할 경우 단호하면서도 친절하게 지적해주어, 내가 그곳에서 빠져나오게 도와주었다. 특별히 그들은 내가 의식을 (뇌의 지각 기능에서처럼) “통일하는(coherencing)” 뇌의 기초적 기능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게 해주었다. 반면에 이러한 나의 생각은 그들로 하여금 피질하 뇌구조(subcortical brain structures), 특별히 뇌간 구조(brainstem structures)를 통일적 행동(coherent behavior)을 위한 닻으로 생각하게 했으며, 따라서 자아-표상(self-representational) 능력을 위한 곳으로 생각하게 하였다.

    (저자의 서문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공지 제69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 안내 2 장철순 2017.01.02 260
483 공지 인천백북스 모임 재개 1 안희찬 2016.12.12 206
482 공지 제68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안내 장철순 2015.05.28 1545
481 후기 67차 인천백북스 모임 후기 장철순 2015.05.13 1445
480 후기 인천백북스 66차 모임 후기 장철순 2015.04.15 1490
479 공지 제66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 안내(2015.04.13) 1 file 안희찬 2015.04.07 1492
» 공지 제65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2015.03.23) 2 안희찬 2015.03.01 1511
477 칼럼 제64차 인천백북스 '장하석의 과학철학' 발제 후기 3 주민수 2015.02.19 1962
476 공지 제64차 인천 정기모임 안내(2015.02.16) 1 안희찬 2015.02.05 1545
475 후기 제63차 인천백북스 정기 모임 후기 안희찬 2015.01.23 1493
474 공지 인천백북스 1월 정기모임 공지 장철순 2015.01.09 1566
473 공지 2014년 송년 모임 안내(2014.12.26) 안희찬 2014.12.19 1658
472 칼럼 老子 2章 4 주민수 2014.11.01 2888
471 공지 관리자님, 인천 게시판도 조치 부탁드립니다 김형태 2014.09.11 2262
470 후기 무동력 비행 3년을 마무리 하며 2 김형태 2014.09.01 6189
469 공지 [인미모 공지] 강독모임 장소 변경 건 김형태 2014.08.23 2215
468 현장스케치 과학적 글쓰기의 기초 - 이종필 박사(물리학자) 강의 김형태 2014.08.20 2701
467 현장스케치 [인천해석] 동인천 싸리재 번개모임 (후기스케치) 4 김형태 2014.08.15 2797
466 공지 [번개모임] 2014년 8월 13일(수) 오후 6시 30분 동인천 4 김형태 2014.08.11 2312
465 현장스케치 [인미모 4] 묵자 읽기 3회(제4장) 후기스케치 2 김형태 2014.08.04 32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