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조회 수 290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토론(혹은 논쟁)의
기술



우리나라는 토론 문화가 잘 발달치 않아서인지 학문적
논쟁에 있어서도 매우 미숙함을 보일 때가 많다.. 그러나 학문이 발달한 나라들을 보면 토론과 논쟁이 하나의 문화가 되어 있을 만큼
많이 발달되어 있고 열려 있다..

특히 한국은 <논리적 차원>과 <인격적 차원>을 잘 구분하지
못하여, 상대방에 대한 논리적 공격을 일종의 인격적 침해로까지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종종 감정 싸움으로까지 번져나가곤 하는데 그래서인지 서로 공식적으로는 조심해하며 몸을 사리는 경향도 없잖아 있다. 



물론 동양사회에서는 인지상정의 관행들이 더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서로의 입장과 견해가 분명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웬만해서는 서로에 대해 논쟁적 토론을 잘 안하려 들거나 아니면 그냥 회피 또는 뒤에
숨은 채로 곧잘 무시하는 편이 많다..

그러나 서구 사회의 대학이나 학문이 발달한 나라들의 경우만 보더라도 토론 문화가 어느 정도 익숙하다는 점에서 <논리적
차원>과 <인격적 차원>은 될수록 구분되어 있으며,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이들 나라의 토론 논쟁들은 매우 자연스러운만큼이나 열기있고
활발하다.. 심지어 가까운 동료 교사나 스승과 제자 사이라도 토론 논쟁은 매우 치열하다. 

그렇지만 그로 인해 사사로운 감정을 드러내곤 하지 않는다. 물론 서구 학계라 해서 감정 싸움이 아예 없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동양사회보다는 그러하다는 얘기다. ((참고로 교양 베스트셀러였던 리처드 니스벳의 '생각의 지도'(김영사)를 읽어보면 학문적 논쟁에 대한 동서양 사회의 성향적 차이도 잘 비교해놓고 있다..이는 얼마전 EBS 다큐 '공부하는 인간'에서도 나온 걸로 안다.))

일단 임의의 A와 B라는 사람이 서로의 입장
차이로 토론을 할 경우
, 그것이 참으로 <성숙한 논쟁>이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서로가
전제되어야 할 4 가지 사항의 범주
가 있다..

1.
A만 알고 B가 모르는 영역
2. B만 알고 A가 모르는 영역
3. A도 B도 둘 다 아는 영역
4. A도 B도 둘 다 모르는
영역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이 4가지 창은 나 자신이 기라성 같은 세계적인 석학과 토론을 하든, 하다못해 아주 나이가 어린 초딩이랑 대화를 하든, 그 누구와 얘기하든 간에 언제든지 필연적으로 전제될 수밖에 없는
사태다.
단지 확률적인 차이만 있을 뿐이다. 그래서 가끔 나 자신 역시 "세계적인 학자"로 불리는 사람들도 너무나 구멍뚫린 허술한 얘기들을 하는 걸 보고선 매우 우습게 볼 때도 있다. 일단 기본적으로는 우리는 모두가 스승이요 모두가 학생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해외 대학의 수업을 들여다보면 선생과 학생도 공정한 토론의 선상에서 사안을 놓고 함께 머리를 맞대기도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토론 논쟁을 할 때 괜시리 "건방지다"
"아는 체 한다" 등등 이런 식의 감정적 언급들은 기본적으로 논쟁에서의 주된 포인트가 결코 될 수 없다고 하겠다.. 오히려 그러한
말들은 논쟁의 핵심적 핀트를 흐리기만 할 뿐이다.. 

만약 위의 4가지 사항을 말한 그림이 서로 간에 전제되어 있지
않다면 성숙한 논쟁을 위한 기본적 자세가 되어 있지 않다고 봐도 좋겠다.. 저것은 토론 논쟁 이전에 대화를 위한 가장 기본적 룰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토론 논쟁의 그 시작점을 말해보자.. 우선 토론 논쟁의 시작점은 가능한 3번 차원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 즉, 너도 알고 나도 아는 그러한 공유점에서부터 논쟁을
시작하면서 
서로 간의 각자의 주장들을 펴는 것이다.. 이 공유점이 넓게 많을수록 그 토론 논쟁은 훨씬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나만 알고 상대가 모르는 영역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일단
자신의 논지의 선후 맥락을 먼저 소개한 후 그것이 결국 상대에 대한 반론의 성격일 경우엔 필연적으로 <정합적인 근거>를 들어서 자신의 주장을 펴는 것이
바람직
하다..

아무런 구체적인 근거도 없이 무턱대고 그냥 그 자신만 아는 영역을 가지고 새로운
주장인양 제시하는 것은 결코 상대방에게 설득적 자세로 다가서는 것이라고 보긴 힘들다.. 그것은 <비판>이라기보다
<비난>이며, 일종의 사유의 폭력이요 횡포일 수 있겠다..

반면에 상대방을
비판함에 있어 그 <근거>를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바나 혹은 상대방이 명백하게 언급한 바를 그대로 드러내보여주면서 이를 상대에 대한 비판의 근거로 삼을
때, 
그것은 상대방의 허를 매우 강력하게 찌르는 설득적 비판이
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A와 B 모두가 몰랐던
것을 서로 알게 되는 
즉, 4번 차원에 이를 때에 그 토론은 양자 모두에게 생산적인 논쟁과 토론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럼으로써 서로 간의 대화 자체가 서로에게 자극이 되는 기폭제가 되는 것이다..

논쟁의
가장 좋은 사례는 이미 우리네 전통 안에도 있다.. 익히 잘 아는 조선의 이황과 고봉의 유명한 사단칠정 논쟁이 그러했다.. 이들의
논쟁이 서로에게 혹은 한국전통사상사 전체에서도 볼 때도 얼마나 커다란 유익함을 줬었는지는 지금까지조차 학계에서도 두고두고 회자될
정도이잖은가..

물론 토론 논쟁이 과다할 경우 싸움이 날 경우도 있다.. 학문의 지성사에서 칼 포퍼와 비트겐슈타인의 <부지깽이
사건>은 매우 유명하다.. 하지만 서로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그 지점에서 서로의 학문적 차이와 핵심을 뚜렷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입장들 간의 충돌은 <재난>이 아니라 <기회>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두고서 오늘날 둘을 인격적 차원으로 매도하거나 그러진
않는다.. 단지 학문적 열의가 과잉했다고 볼 뿐이지 이를 두고서 오늘날 평가하기를, 포퍼는 참으로 버릇없는 놈이고 비트겐슈타인은
성질 고약한 파시스트라고 평가하는 사람이 누가 있는가..



토론(논쟁)은 <내가 틀릴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전제해두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으며, 그것은 영원한 평행선이나 독단의 망조로 나가기 쉽상일 뿐
이다.. 그렇기에
<자기부정>까지도 받아들일 줄 알면서 끊임없이 자기검증을 시도하는 것이야말로 진리를 구하려는 진정한 자세가
아닐는지.. 그럼으로써 점점 더 궁극적으로는 어떠한 비판에도 단련되어 있는 굳건한 진리를 향해 점근선적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본다..

사실 오류와 반성이야말로 그 자신을 성장시키는 가장 큰 밑거름이 되고 있다.. 나 자신조차도 오류가 날 수 있음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화이트헤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오류를 놓고 두려워하는 것이야말로
진보의 종말이다.
진리를 사랑하는 길은 곧 오류를 보호하는 것이다”
(MT 16)라고..



이 얼마나 멋진 말인가..
우리 자신들은 모두가 진정 열려 있는 사람인가..
물론 나 자신도 부족하기에 이는 어디까지나 함께 권하고 싶은 얘기라는 점도 첨언해두고자 한다. 



[감정과 이성 및 대화와 토론의 구분] 참조글

  • ?
    이기두 2013.08.29 21:28
    왜 이글을 썼는지 알 수 있는 사람으로서,

    위 글은 대체적으로 좋은 내용입니다.

    문제는 언행일치가 아니겠습니까?
  • ?
    장철순 2013.08.29 21:28
    미선님의 좋은 글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미선님 글에 전적으로 동의 합니다.

    너무 당연한 말씀을 하신 것으로 보이나 이는 매우 중요한 말씀을 하신 것으로 봅니다.
    저도 논제에 대한 바라보는 방향의 관점의 차이를 인정하여 놓고 대화와 토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순수한 지식적(진실적 지식)” 대화나 토론에서는 이러한 토론의 기본은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이 되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게 쉽지가 않네요
    우선 대화나 토론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고, 상대가 있는데 각자의 주관적 견해가 다른 것은 당연한 것인데, 여기에 알게 모르게 각자의 이해타산적(利害打算的)생각이 내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일상적 대화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어떠한 주제에 대한 논쟁이나 토론에서는 이해타산 적 의도가 보다 많이 개입이 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여기에서 이해타산 적이라고 하는 것은 경제적인 것 말고도 “지식적 우월감”이나 또는 “협소한 지식적 착각”에 의한 이해타산적 마음이 있기 때문에 토론에서 많은 논쟁이 발생을 하는 것으로 저는 보고 있습니다.

    하긴 어떤 사람들은 인간의 모든 행위가 “이해타산 적”으로 이루어진다고는 하고, 이는 사실이기도 합니다. 이는 현재의 지식도 “지식적 특허”로 의미로 경제적가치가 부여되기도 하며, 실용적 특허로 이용이 되는 부분도 많이 발생을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순수한 지식"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이해타산 적 토론이나 논쟁은 순수한 지식의 발전에는 걸림돌이 된다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순수한 지식은 그자체로는 경제적 가치나 명예나 우월감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순수한 지식은 진실 그 자체에 있고, 순수한 지식은 진리를 알고자 하는 것에 있으며, “경제적 가치”나 “지식적명예”나 “지식적 우월감”은 2차적인 것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순수한 지식적 토론은 전쟁은 아니고 논의가 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순수한 지식은 진실에 있지, 우월차이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보면 순수한 지식적 토론을 전쟁으로 이끄는 사람들은 이해타산 적 마음이 개입이 되어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보고 있습니다.
    물론 경제적 이해타산의 토론에서는 피터지게 전쟁을 하여야겠지만, “순수한 지식적 토론”에서 토론전쟁은 피차 지식적 절망을 가지게 할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토론의 기본은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항상 대화나 토론을 할 때 이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만 쉽지가 않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다고 할 수가 있는 토론의 기본 4가지에 대한 것을 다시 제시하여 주신 것에 대하여 미선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화이트헤드가 말한
    “오류를 놓고 두려워하는 것이야말로 진보의 종말이다.
    진리를 사랑하는 길은 곧 오류를 보호하는 것이다”.

    라고 말한 것에 대하여

    진실은 진실 그대로 존재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인식적 착각과 욕망에 의한 오류에 의하여 진실에 보다 가까이 접근을 하고 있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오류가 오류로 밝혀질 때 오류로 의미를 가지면 진실로 가까이 접근을 한다는 것에 문제 있다고 할 수가 있습니다.
    오류를 어떻게 찾아낼 것인가??
    우리는 아직 근원적 진실에 대하여 모르는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혹시 우리가 진실이라고 알고 있는 것에는 오류가 포함이 되어있지 않을 까요?

    다 아는 것을 너무 장황하게 쓴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 ^
  • ?
    주영준 2013.08.29 21:28
    또 한수 배움니다! 장화백님!

  1. 개똥 철학..

  2. 토론(혹은 논쟁)의 기술

  3. No Image 02Aug
    by 이중훈
    2013/08/02 by 이중훈
    Views 2309 

    무쇠 한스 이야기

  4. No Image 24May
    by 박성일
    2013/05/24 by 박성일
    Views 2638 

    책을 불태우는 곳에서는 결국 인간도 불태운다

  5. 시간은 환상인가, 현실인가 - 과학의 근본 문제

  6. No Image 27Apr
    by 미선
    2013/04/27 by 미선
    Views 2793 

    "왜 예수인가" (예수운동의 밈Meme)

  7. <뇌 이데올로기>를 아십니까

  8. No Image 31Mar
    by 이중훈
    2013/03/31 by 이중훈
    Views 2039 

    만화가 이현세님의 글

  9. No Image 29Mar
    by 이중훈
    2013/03/29 by 이중훈
    Views 2133 

    동물문학

  10. 임상역사의 중요성

  11. No Image 15Mar
    by 이중훈
    2013/03/15 by 이중훈
    Views 1746 

    힉스 입자 발견

  12. 신입의 다짐

  13. 첫 경험(제목이 너무 자극적인가?)

  14. No Image 05Feb
    by 이중훈
    2013/02/05 by 이중훈
    Views 1913 

    과학자와 공학자, 비슷하면서도 많이 다르다

  15. 펌글, 역사에 관한 글

  16. 난감했던 동네서점

  17. 탐사일기 2 "행복한 수면"

  18. 안녕하세요~ ㅎㅎ

  19. 거세개탁(퍼온글)

  20. 새해맞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