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조회 수 2528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 배우 김명민이 20킬로그램의 체중을 감량하며 찍은 영화 ‘내 사랑 내 곁에’가 개봉되었다는 보도를 많이 접한다. 인터뷰 내용을 보니 김명민은 그런 초감량을 단 기간에 해 내면서 ‘이대로 자면 내일 아침에는 꼭 죽을 것만 같다’는 느낌을 열 번 씩이나 경험했다고 한다. 그렇게 배우 자신이 캐릭터 창조를 극한까지 밀어붙여서 철저하게 극중 인물로 변하는 연기를 ‘메소드(method) 연기’라고 하는데 이미 2005년에 크리스찬 베일이 영화 ‘머시니스트’의 주인공 캐릭터를 소화하기 위해 30킬로그램의 감량을 단행한 바 있다. 그러나 사실상 ‘메소드 연기’는 체중 감량을 하는 외면적 변신보다도 내면의 변신을 위주로 하는 것이다. 영화 ‘대부’에서의 말론 브란도나 ‘데드 맨 워킹’에서의 숀 펜 등이 그런 경우들인데 하나 같이 배우의 연기력만으로 완벽하게 주인공의 캐릭터를 재현해내고 있다. 분장이나 감량 등도 중요하지만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배우가 영화 속에서 그 주인공으로 완전히 변신해 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요즘의 우리는 지나치게 ‘보이는 것에 매달리는 경향’이 있다. 요즘 세상이 너나없이, 남녀구분 없이, 또 나이 구분 없이 다이어트 열풍과 성형 열풍에 휩싸여 있는 것도 어찌 보면 ‘보이는 것에 매달리는 시대 조류’와 무관하지는 않다고 본다. 그러다 보니 메소드 연기에 있어서도 놀랄 정도의 감량이 먼저 화제가 된다. 혼신의 힘을 다하는 내면의 연기보다 자칫 눈에 보이는 감량이 메소드 연기의 잣대가 되지 않을까 걱정될 정도이다.


물론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는 말처럼 외양도 중요하다. 그러나 내면은 더욱 중요하다. 배우 김명민을 생각하면 올해 초에 방영되었던 한 방송에서의 특집 ‘김명민은 거기에 없었다’를 잊을 수가 없다. ‘베토벤 바이러스’를 막 마치고 나서 ‘내 사랑 내 곁에’ 촬영을 시작한 시점에 제작된 것인데 배우 김명민의 연기 세계와 그가 살아온 길을 조명하는 프로였다. 필자는 그 방송을 보다가 한 대목에서 나도 모르는 전율을 느꼈다.


김명민이 탤런트로 데뷔해서 무명으로 시간을 보내던 6년여의 시절을 이야기하는 대목이었다. 탤런트가 되고 나서 배역을 얻고자 하루도 빠지지 않고 감독이나 PD를 찾아다니면서 ‘김명민입니다. 잘 부탁합니다.’라고 인사를 했는데 아주 조그만 단역조차도 잘 돌아 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던 중 한 영화에 단역으로 출연 제의가 들어왔는데 얼마나 기뻤는지 의상실에 가서 무려 두 시간을 들여서 배역에 맞는 옷을 고른 뒤 촬영장으로 갔다. 그런데 감독이 그를 스윽 보고는 ‘아 자네.... 그 배역이 다른 사람으로 바뀌었어!’하고는 다시 돌아보지도 않더라는 것이다. 이 대목을 회상하면서 갑자기 김명민이 눈물을 흘린 것이다. 상당히 침착하게 과거를 이야기하던 중이라 자신도 모르게 흘린 눈물에 스스로도 어색하고 놀란 듯 ‘어? 내가 왜 이러지?’라며 당황해 했다.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모르겠지만 필자는 그 눈물을 보면서 ‘저것이 바로 김명민 표 메소드 연기의 원천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는 메소드 연기의 대표 배우라고 칭송받고 있지만 결코 처음부터 그가 그랬던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런 굴욕감을 느낄 정도의, 어찌 보면 배우로서 치욕스런 극한까지를 경험하면서, 오히려 연기에 영혼을 불어넣는 집념과 정신이 생긴 것이라고 본다. 그런 무명의 설움을 견디다 못해 ‘나는 배우 자질이 없나 보다’라고 포기하고 뉴질랜드로 이민을 가려고 수속을 다 밟은 상태에서 ‘불멸의 이순신’ 주인공 제의가 들어온다. 여러분들은 기억하는가? 이순신이 노량 해전 출정을 앞두고 병사들에게 외치던 그 목소리를. ‘살려고 하는 자는 죽을 것이요, 죽으려고 하는 자는 살 것이다(必生卽死 必死卽生)!’


이순신 장군이 외친 그 소리는 그야말로 배우로서 김명민이 자신의 연기를 위하여 외치는 내면의 소리와 일치되는 것이다. 밑바닥의 극한을 경험한 그로서는 정말 죽을 각오로 연기를 하는 것이다. 그러자 그 대사 그대로 그는 완전히 살아났고 이제는 메소드 연기의 대표 배우가 되었다. 그야말로 작품 속에 주인공은 있지만 ‘김명민은 없는 것’이다. 나는 그의 연기력보다도 젊은 나이에 도달한 그 정신세계가 놀랍게 느껴졌다.


그 이후, 나는 배우 김명민을 생각하면서, 과연 나도 작가로서 필사즉생의 정신으로 글을 쓰고 있는가를 반성하곤 한다. 필자가 죽어야 글은 살아나는 것이다. 셀러를 먼저 생각하고, 인기를 먼저 생각하면 글은 기교가 되어 버린다. 마찬가지로 ‘메소드 연기’는 배우의 것만이 아니다. 직장을 다니든, 사업을 하든, 예술을 하든, 가게를 하든 필사즉생의 자세로 집중하면 성공하지 못할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그리고 세상에 누워 떡 먹듯 이루어진 성공이 어디 있을까? 남자들이여, 자신의 역할에 몰입하자! 내가 맡은 일을 하는 순간만큼은 나를 죽이고 그 역할에 완전히 빠져 들 때 성공은 찾아 올 것이다. 그리고 나서는 힘들었던 과거를 당당하게 회상해보자. 그러면 그 때 자신도 모르게 ‘내가 왜 이러지?’라면 진한 눈물이 저절로 흐를 것이다.

'행복한 동행' 11월호 게재

** 무엇이 그리 바쁜지 정말 오랜만에 들어와 보는군요. 올해는 '아버지'에 관한 
책을 내기 위해서 작업을 했는데 출판사와의 착오가 생겨서 출간을 못했습니다. 

 출판사 두 곳에서 책 작업 제의가 왔었는데 거절하고 쉬고 있습니다. 올해 초에
'샘터'와 '행복한 동행' 두 곳에서 고정 칼럼을 써달라고 해서 그 글쓰기에 집중
했습니다.  위 글은 '행복한 동행'에 쓰는 글 중에 11월호 분입니다. 계속 연재를 한다 그러니까 나중에 책 한 권으로 묶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KBS 1 라디오(97.3 MHZ) '성공예감' 이라는 프로에서 고정 출연 제의가
와서 내일 첫 방송이 나갑니다. 매주 수요일 아침 8시 50분부터 10분간 '직장인
성공학'이라는 코너에 나갑니다. 산골에 있어도 전화로 인터뷰가 가능하니까
그런 점은 좋군요. 많은 청취 바랍니다.

 백북스 클럽 여러분들의 건강과 행운을 항상 기원합니다.

  • ?
    이병록 2009.10.27 14:31
    오랫만에 소식 접합니다.
  • ?
    강신철 2009.10.27 14:31
    김용전님 오랫만에 글을 올렸네요. 반갑습니다. 이렇게 인터넷 상으로라도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걸 다행으로 여겨야 할 정도로 바쁜가 봅니다. 김명민이라는 배우가 다시 뵈네요. 글을 쓰는 사람들에게 좋은 경계가 되겠군요.

    좋은 글들 여기에도 자주 올리세요.
  • ?
    이병은 2009.10.27 14:31
    고맙습니다
  • ?
    김용전 2009.10.27 14:31
    제독님 반갑습니다. 176차 강연을 맡아 하셨군요. 산골에 사느라
    마음만큼 같이 하지를 못해서 아쉽습니다. 항상 만날 날을 고대하고
    있습니다.

    강 교수님, 오랜만입니다. 일상이 그렇게까지 바쁜 건 아닌데도
    자주 만나지 못하는 군요. 어쨌든 시골이라고 소소한 농사일이
    끝도 없이 이어져요. 틈나는 시간에는 글쓰고 강연하고 방송하고....
    어찌보면 한량같은 생활이기도 한데 사실 귀농하면서 이걸 꿈꿨던 건
    아니지요. 무슨 고상한 정신에 평온한 경지를 흙에서 얻겠다고 했었는데
    잘못된 꿈이었는지....어느 새 도시처럼 다시 바쁘게 살고 있으니 원.

    이병은 님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엘리제를 위하여의 저작권 3 전동주 2009.10.27 2442
» 남자의 눈물 - 배우 김명민의 눈물 4 김용전 2009.10.27 2528
85 헤르메스 시대와 물병자리 시대의 서막이 열리다. 1 신영호 2009.08.06 3761
84 독서의 5단계說 4 강신철 2009.06.02 2881
83 지역 감독들과 함께 한 8시간 6 전광준 2009.05.19 2528
82 아실지 모르지만... 한성호 2009.05.01 2534
81 학문을 도시에 비유하면..? ^^ 3 장종훈 2009.05.01 2792
80 진화, 다양성 그리고 독감 4 정인성 2009.04.30 2571
79 기원에 대한 감사의 이유 6 임석희 2009.04.26 2677
78 속삭임 19 임석희 2009.04.14 3680
77 책을 위한 공간으로 다듬고 싶다 1 file 송병국 2009.03.27 2873
76 공지 균형독서 포트폴리오 14 강신철 2009.02.16 4111
75 공지 [re] 균형독서 포트폴리오에 답하며 3 김하늘 2009.03.16 3117
74 공지 간밤에 흰눈이 왔어요! 4 김용전 2009.01.25 3471
73 공지 博覽强記 - 엘리티즘을 경계한다 13 강신철 2009.01.22 3795
72 공지 2008, 나의 백북스 활동 12 임석희 2008.12.28 4241
71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4 강신철 2008.11.18 4920
70 공지 <뇌 생각의 출현>을 읽고 8 조동환 2008.11.03 4608
69 일주일만에 진짜 흙집 짓기 7 김용전 2008.10.30 3671
68 공지 최진실의 죽음에 부쳐 3 김용전 2008.10.04 44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