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백북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진화심리학으로 살펴본 인간의 비밀

헤닝 엥겔른의 ‘인간, 우리는 누구인가?’

 2010년 06월 25일(금)






과학서평 사람만이 갖는 특징은 무엇일까. <털없는 원숭이>의 저자 데즈먼드 모리스(Desmond Morris)는 ‘귓불’이라 말할 것이다. 귀가 제아무리 큰 토끼도 귓불은 갖지 못했다. 데즈먼드 모리스는 귓불을 일부일처제를 강화시키는 성적 신호라고 주장한다. 번식기가 따로 없는 인간에게 특별히 주어진 신체기관이라는 해석이다.

중학생 땐가 체육선생님은 인간이 ‘수영을 배운다’는 특징을 가졌다고 말했다. 물에 빠지면 죽는다는 걸 잘 아는 인간은 사전에 수영을 배워둔다는 건데, 그런 식의 특징에는 예외가 아주 많을 것 같다.







▲ 진화라는 태엽을 다시 감았다 놓으면 지구에 사람이 탄생할까. 
진화라는 태엽을 다시 감았다 놓으면 지구에 사람이 당연히 탄생할까. 진화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Stephen Jay Gould)는 아니라고 강조할 것이다. 진화의 험로에서 인간으로 이어진 좁디좁은 길은 다분히 우연의 연속이었기에 그 이정표를 정확히 재현할 확률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변화무쌍했던 당시의 환경조건까지 정확히 재현된다는 건 불가능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현재 인간은 진화 단계에서 지고의 경지인가. 인간보다 더 진화하는 생물은 있을 수 없는 걸까. “그렇다”고 이야기하고 싶은 이가 많겠지만, 스티븐 제이 굴드가 다시 살아난다면 냉정하게 아니라고 고개를 저을 게 틀림없다. 진화는 그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과 결과일 따름이므로. 사람이든 침팬지든, 하다못해 아메바든, 자신이 현재 처해있는 환경에 최적으로 적응돼 있다면 가장 진화한 것으로 해석해야 하므로 그렇다는 거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란 질문이 유효한 까닭은?

그건 그렇고. 해묵은 질문으로, 인간이란 무엇인가? 동서고금을 통틀어 입이 있는 현인 치고 인간이란 무엇인지 말하지 않은 이가 없을 텐데, 인간이란 무엇인지 묻는 질문이 여전히 유효한 까닭은 무엇일까. 설명이 부족하다기보다 고민이 깊은 자에게 살갑게 이해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탓은 아닐지.

젊은 베르테르는 왜 4월에 자살을 했을까. 4월은 원래 잔인해서? 아니다. 대부분의 젊은이는 4월에 봄을 만끽한다. 한데, 젊은 시절 상사병으로 삶이 엉망이 되었다고 이실직고한 독일의 생물학자이자 과학저술가 헤닝 엥겔른(Henning Engeln)이 인간이 누구인지 다시금 묻고 나섰다. 과학적 사실과 환경적 요인을 버무린 진화심리학으로 나름대로 흥미롭게 분석하려고 애쓰는 그는 어쩌면 천생 이야기꾼인지 모른다.

그는 인간이 어디에서 기원했는지 먼지 덮인 고생물학을 다시 뒤진다. 그 방면에 특별한 흥미를 가진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독자들이 관심을 거둔 분야일지라도 다음의 이야기를 풀어가자면 어쩔 수 없었을까. 조상의 뼈들을 세심하게 들어다본 뒤, 분명한 건 현대인이 결코 유럽에서 기원한 게 아니라는 사실을 새삼 끌어낸다. 서 있는 현대인의 골격을 하나하나를 살펴보아도 세련된 생김생김은 물론 뇌 용량과 키가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원인과 차이가 현저하다.

유럽에 많은 동굴에 남긴 흔적도 아프리카누스니 아파렌시스니 하는 원시인에 비해 월등한 수준 차이를 드러내므로 현대인은 당연히 유럽일 거라 믿는 이가 유럽에 똬리를 틀고 있었던 적이 있었지만, 아니라는 데 굳이 방점을 찍으려는 이유는 다음에 풀어간다. 크로마뇽인이냐 네안데르탈인이냐 하는 아직 약간의 논란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건 유럽 기원설과 관계없다. 인류의 조상이 아프리카에서 두 차례 나와 세계로 퍼져나갔다는 사실은 이제 뒤집을 수 없을 것 같다.

화석이 오늘날까지 지층에 온전하게 남을 확률은 아주 희박하다. 하필 퇴적층에서 사고를 당해야 하고 산소가 없어 부패가 차단되어야 하며 그 지층이 융기되거나 물에 씻겨나가 학자의 눈에 띄어야하는데, 어디 그게 쉬운가. 그래도 집요하리만큼 꼼꼼한 학자들은 해골 반쪽, 부서진 아래턱, 대퇴부 하나로 그럴싸한 해석을 펼친다. 그런 결과로 명명된 인류의 조상은 얼마나 되나. 헤닝 엥겔른이 고생물학자들이 힘겹게 맞춘 퍼즐을 다시 설명하는데, 듣는 순간 머리가 복잡해진다.

이제 현 인류를 생각해야 한다







▲ 헤닝 엥겔른의 저서 ‘인간, 우리는 누구인가?’ 
분명한 것은 현 인류의 조상은 가지가 꽤 많았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오직 한 가지만이 현재에 이르렀고 나머지는 완벽하게 사라졌다. 모두 어디로 갔을까. 히말라야 설인? 그런 건 설화일 뿐, 설인은 없다고<인간, 우리는 누구인가?>의 저자는 강변한다.

숱한 가지 중에 오로지 한 가지가 돌이킬 수 없는 우여곡절들을 거쳐 현재 지구촌을 뒤덮다시피 생존하게 된 운명을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법. 이제 현 인류를 생각해야 한다. 왜 인류는 남녀가 다른 모습으로 다른 태도를 연출하면서 사랑하고 다툴까. 유전자의 차이로 결정된 걸까 어려서부터 부지불식간에 학습된 걸까.

헤닝 엥겔른은 인류가 보편적으로 보여주는 행동과 심리 몇 가지를 추적해 들어간다. 남성과 여성이 이성에게 느끼는 사랑의 감성은 다르다는 것, 남성은 처음 만나는 이성의 유혹에 쉽게 넘어가지만 여성은 불쾌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유전인가 환경인가. 성호르몬으로 남성을 여성으로 바꿀 수 있을까.

육체만 따지는 게 아니다. 정신이 뒷받침되지 않는 육체는 갈등을 유발하게 된다는 사례도 제시한다. 포경수술을 실패한 신생아의 신체를 여성으로 전환하고 엉뚱한 호르몬을 계속 주입했건만 결국 재수술로 원래의 성으로 돌아간 일란성쌍둥이가 그 예인데, 역시 일반화하기 어려울 것 같다.

여중생을 성폭행한 뒤 살해하는 사건 등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문명사회는 동물에게 미안하게도 인면수심(人面獸心)의 악인을 잊을만하면 나타나게 한다. 선과 악은 특정 인간의 본성인가 환경의 지배를 받은 결과인가. 본성은 이기적으로 행동하도록 인간을 내모는 유전적 특징을 가지는가. 학습의 결과인가.

그런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분석하는 헤닝 엥겔른은 인간을 움직이게 하는 사랑, 우정, 신뢰, 기쁨, 분노, 공포, 슬픔, 질투심과 같은 감정들이 테스토스테론이나 세로토닌과 같은 호르몬의 영향인지, 그 호르몬을 분비하게 만드는 사회의 환경인지 독자를 고민하게 만든다. 유전자인가? 아니면 뇌가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가? 유전자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발현한다고 하고, 뇌는 유전의 지배를 받는다는데, 도대체 무엇이 보편적인 인류의 행동거지를 지배하는가.

인간에의 질문, 두툼한 책 속에 한 가득 마련







▲ 이제 이 복잡한 세상에서 인간은 어디로 가야 앞으로도 행복할까. 
이제 이 복잡한 세상에서 인간은 어디로 가야 앞으로도 행복할까. 인공지능의 연구로 오직 나에게 순종적인 로봇을 만들어 편의를 추구하면 어떨까. 그러다 온갖 로봇이 반란을 시도하면 어쩌나. 공상과학영화를 지나치게 많이 본 게 아니다. 현재 인간은 별의별 연구를 다 한다. 로봇이 무기를 들고 전장에 나갈 일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한다. 전투 상대는 로봇이 없으니 당하기만 할까. 그렇지 않을 텐데, 이러다 로봇끼리 다투는 건 아닐까. 그 다음엔?

헤닝 엥겔른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별의별 생각을 다 하게 된다. 그가 독일인이라 그런지 창조주와 연계하는 고민거리를 넌지시 비치기도 하는데, 창조세계를 감히 염탐하는 인간이 드러내는 초월이니 유체이탈과 같은 현상을 물질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저 훈련된 이의 물질적인 현상인가 범접할 수 없는 정신세계로 경배해야 하나. 여전히 독자는 헷갈린다.

어찌되었든, 인간은 “진화 과정에서 더 진행되지 못한 일시적인 최종 산물”이라고 독자에게 동의를 구하는데, 그건 인간만이 아니다. 삼라만상의 생명들이 다 그렇다.

유전자를 조작하고, 시험관에서 새 생명을 받아내는 걸 넘어, 생명을 복제하려고 시도하는 요즘의 인간은 진부한 유전자를 ‘더 좋은’ 유전자로 바꾸고 장기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단꿈에 젖는다.

하지만 모두 부질없는 짓일까. 헤닝 엥겔른은 유전자가 감시의 기재로 악용될 때 발생할 두려움도 상상하지만 궁극적으로 기술보다 현실의 환경을 걱정한다. 이렇군! 저렇군! 기대와 희망으로 들떠 있는 지금, 지구촌 대기의 온실가스는 전에 없이 그득해졌다는 거다.

지금의 인간이 할 일은 지구온난화를 극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책을 마친다. 이제 독자들은 흥미로운 상식을 제법 두툼하게 제공하는 ‘인간, 우리는 누구인가?’의 책장을 아쉬움 속에 덮을 수 있게 되었다.






박병상 인천 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2010.06.25 ⓒ ScienceTimes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8 공지 신입인사 SOS 2018.12.09 138
87 벌써 2011년의 마무리 단계네요... 2012 대구 백북스의 활력을 준비해 봐요. 김태훈 2011.11.22 2763
86 봄바람도 부는데 만나야죠^^ 표구철 2011.03.11 3218
85 대구 백북스 회원님들께 가입인사 드립니다... 1 권순주 2011.01.14 3210
84 부산항빛축제 1 표구철 2010.12.30 3357
83 자료 "괴짜 생태학" 이형래 2010.12.03 3357
» 자료 진화심리학으로 살펴본 인간의 비밀(헤닝 엥겔른)인간 우리는 누구인가? 이형래 2010.06.27 3700
81 표구철 테마전시 2010 감성나무심기 표구철 2010.06.18 3549
80 주요스케줄- 테마전시[주제공연] 2010- 설치미술가 표구철, 감성나무 심기[2010. 7. 2.(금) 19:00 대구미술광장] 사회진행 예정[전문MC 김수호] 김수호 2010.06.17 3629
79 ASG- 세계 최대 규모의 통신대리점 사업에 참가할 예정입니다(2010.6.15. ASG 김수호) 1 김수호 2010.06.16 3456
78 인사 김종협 2010.04.30 3531
77 대구백북스 운영회의 홍종연 2010.04.28 3427
76 '뉴턴과 낙하하는 사과' 이야기에 화가 난 가우스 남대호 2010.04.28 3388
75 앞으로도 평회원으로 계속 남으며, 잠시 아니면 영원히 백북스 무대를 떠나며 1 김수호 2010.04.22 3323
74 공부할 수 있을까? 3 남대호 2010.04.22 3389
73 12회 모임관련 1 홍종연 2010.04.17 3805
72 면역의 의미론 독서모임 담주부터 시작할까요?!! 3 권미자 2010.04.14 3396
71 면역학적으로 나는 누구일까요? 같이 공부하실 분 찾습니다^^ 6 권미자 2010.04.10 3535
70 자료 과학으로 '사랑'강조 다미주 이론<인간과원숭이와RNA> 이형래 2010.04.03 24616
69 제 11회 대구백북스 정기모임 후기 file 홍종연 2010.04.03 35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